티스토리 뷰


CSC에서 Cloud Usage Index라는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http://www.csc.com/newsroom/ds/75354-ahead_in_the_cloud_the_csc_cloud_usage_index

 

내용을 정리하면…..

 

조사 대상 : 8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호주, 일본, 싱가폴)

조사 인원 : 3,645

조사 기간 : 2011.10 ~ 2011.11

조사 목적 : 클라우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대나 예측이 아닌, 결과와 경험을 조사하고 함

결과

1.     클라우드 도입 동인 (통상적인 생각으로 비용이나 비즈니스 민첩성을 꼽지만 실상은 데이터 접근이 주된 요인이다.)

A.     33%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한 직원 연결 (데이터 접근의 편리함)

B.      21% 비즈니스 민첩성 (Business Agility)

C.      17% 비용 절감

D.     미국의 경우, 46%가 정보에 대한 접근 편의성을 꼽았고, 10%만이 비용 절감을 꼽았다.

2.     클라우드가 IT Performance에 도움을 주었나 ?

A.     93% 적어도 한 분야 이상의 IT 개선을 가져왔다.

B.      개선된 분야로서, 52%의 사용자는 데이터센터 효율 및 활용도를 꼽았다. 47%는 운영 비용 절감을 꼽았다.

                         i.         이러한 혜택은 48%의 조직에서 클라우드 도입 6개월 이내에 맛볼수 있었다.

C.      전반적으로 응답자의 80%가 도입 6개월 이내에 개선을 경험했다.

3.     비용 절감 측면

A.     82%의 조직에서 비용 절감 효과를 봤다. 하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았다.

B.      35%의 조직은 $20,000이하의 절감 효과를 봤고, 미국내 조직 전체의 23%와 미국내 50인 이하 사업장의 45%는 비용 절감 효과를 보지 못했다.

4.     조직 규모 측면

A.     클라우드 도입후 오직 14%의 기업만이 IT 조직을 축소했고, 심지어 20%의 기업은 더 많은 클라우드 전문가를 고용했다.

5.     기업의 지속가능성 (Sustainability) 측면

A.     클라우드의 도입은 기업의 영속 가능성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64%의 조직에 있어서 클라우드의 도입은 에너지 소비를 낮추고 낭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B.      미 연방정부의 “cloud-first” 정책의 강제로 인해 미국 정부 조직의 48%가 클라우드로 이행했다.

6.     예측

A.     65%의 조직이 1년 이상의 클라우드 subscription을 하고 있다.

B.      규모가 작은 조직일수록 구성원의 반발없이 클라우드로의 이행을 진행하고 있다. 74%의 소규모 비즈니스에서는 아무런 저항없이 클라우드를 도입했다.

7.     데이터 보안

A.     25%의 조직에서 클라우드로의 이행 후 더 많은 보안 우려를 표명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위 링크에 걸려 있는 보고서를 참고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댓글
댓글쓰기 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