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C에서 Cloud Usage Index라는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http://www.csc.com/newsroom/ds/75354-ahead_in_the_cloud_the_csc_cloud_usage_index 내용을 정리하면….. 조사 대상 : 8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호주, 일본, 싱가폴) 조사 인원 : 3,645명 조사 기간 : 2011.10월 ~ 2011.11월 조사 목적 : 클라우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대나 예측이 아닌, 결과와 경험을 조사하고 함 결과 1. 클라우드 도입 동인 (통상적인 생각으로 비용이나 비즈니스 민첩성을 꼽지만 실상은 데이터 접근이 주된 요인이다.) A. 33%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한 직원 연결 (데이터 접근의 편리함) B. 21% 비즈니스..
마이크로소프트의 색다른 IaaS 오퍼링인 Windows Azure Appliance가 모습을 드러냈다. 작년 가을 WPC (World Partner Conference)에서 Windows Azure Appliance의 출시를 공식화하고 관련된 파트너로 Dell, HP, Fujitsu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는데, 어제 Fujitsu가 오는 8월 부터 Windows Azure Appliance를 통해 공식 서비스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그간 말 많았고, 진행상황이 외부에 공개되지 않아 궁금증을 유발했는데, 공식적으로 서비스 개시를 선언한 것이다. Windows Azure Appliance 관련 이전 포스팅 : http://kingcrap.com/entry/WPC-소식-마이크로소프트가-컨테이너-단위로-클라우드-서비..
SQL Server 2008로 구현된 클라우드 기반 RDB 서비스인 SQL Azure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물리적 서버를 공유하는 multi-tenant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유하는 물리적 서버 자원을 한 사용자가 독점하여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성능에 지장을 주지 못하도록 모니터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 연결 자체를 끊는다. 이러한 SQL Azure의 Throttling에 관해 공개된 정보가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SQL Azure가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끊는 경우는 아래와 같다. 한 세션이 1백만개 이상의 lock을 사용할 때.. 로그 크기 1GB 이상 넘어가는 트랜잭션.. 로그 파일 기준으로, 커밋 안된 트랜잭션과 현재 트랜잭션 사이의 길이가 전체 로그의 20%..
클라우드 컴퓨팅이 이제 확실하게 대세로 자리잡은 모양이다. 업종을 막론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고, 실 서비스를 Windows Azure Platform (이하 애저) 환경에서 제공하고자 PoC 및 실제 개발이 진행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다양한 업종의 사람들과 만나 애저 적용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이나 이슈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알게된 것들을 정리하고자 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서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애저는 개발자나 사용자가 제어하거나 심지어 감지할 수 없지만, 내부적으로 로드 밸런서가 내장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이 클라우드 플랫폼에 기대하는, 부하 폭주시 대처할 수 있는 확장성이나 부하에 따라서 서비스 인프라를 조절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인프라..
좀 지난 소식이긴 한데, SQL Azure가 공식적으로 JDBC를 지원하는군요.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SQL Server 2008 R2 및 SQL Azure용 JDBC 드라이버는 아래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s/en/details.aspx?FamilyID=ae924066-2946-40a7-93c6-c7e83f54072f&displaylang=en - 위 드라이버로 접근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는 SQL 2000, 2005, 2008, 2008 R2 및 SQL Azure입니다. - JDBC 4.0 compliant한 드라이버로서 JDK 5.0 이상에서 사용가능합니다. - 제공하는 JDBC 드라이버가 Type 4이기 때문에 사용가능한 운영체..
지난 2월 24일부로 Windows Azure CDN의 24번째 노드가 카타르 도하에 설치되어 서비스에 들어갔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사업자간 혹은 기존 CDN 전문 업체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이미 시작되었고, CDN의 비즈니스 영역은 기존 대기업 중심의 CDN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술 흐름에 맞추어 소셜 및 N-Screen과의 접점에서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현재 서비스 중인 24개 Windows Azure CDN노드는 다음과 같다. US/EMEA US Ashburn, VA Bay Area, CA Chicago, IL San Antonio, TX Los Angeles, CA Miami, FL Newark, NJ Seattle, WA EMEA Amsterdam, NL Doha, QT N..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200여 개의 온라인 서비스 및 웹 싸이트 운영하는 팀이 GFS (Global Foundation Services)이다. 이곳에 가면 클라우드 스케일의 운영 노하우를 엿볼 수 있으며, 인프라 관련하여 다수의 정제된 아티클을 살펴볼 수 있다. 여기 나와 있는 클라우드 스케일의 서비스 인프라 구성을 참고하여 제안서 작성에 활용하는 분들도 가끔 볼 수 있다. 보안 섹션에 가면 Azure를 포함하여 온라인 서비스 보안에 대한 자료를 받아볼 수 있다. 보안 관련하여 제공되는 아티클은 다음과 같다.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Microsoft Cloud Infrastructure Windows Azure™ Security Overview S..
좀 지난 것이긴 하지만, 2010년 5월에 스위스의 쮜리히 공과대학 (ETH Zurich)의 전산과 교수들로 구성된 Systems Group이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자의 서비스에 대해 end-to-end performance study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가 highscalability.com에 게시되었다. 대상이 되는 서비스로는 Microsoft Azure, Amazon AWS, Google AppEngine이다. 성능 벤치마크를 위해 이들이 사용한 방식은 웹 트랜잭션 성능 벤치마크라고 널리 알려진 TPC-W 벤치마크이다. TPC-W에서 정의한 바대로, emulated browser (EB)에서 발생시킨 사용자 요청(Web-Interaction:WI) 을 어느 정도 받아 낼 수 있는지를 측정하기 위해 동..
David Chappell이 “The Benefits And Risks Of Cloud Platforms – A Guide For Business Leaders”라는 백서를 작성했다. 이 글은 클라우드 플랫폼 도입의 득실을 비지니스 리더의 관점에서 몇 가지 고려할 항목이라는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 내용을 정리하면.... 비지니스 측면에서 클라우드 도입이 가져다 주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비지니스를 빠르게 시장에 내놓을 수 있다는 점 2. 비지니스 혁신을 추구할 때 리스크 (즉, 비용)를 줄일 수 있다는 점 (실패해도 피해 적게...) 3.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의 인프라를 통한 내 사업의 글로벌 스케일 및 글로벌 리치 가능하다는 점 4. IT 비용 지출을 좀 더 효과적으로 선별적으로 집행할 ..
1월 31일 Azure CDN 팀에서 23번째 Azure CDN 노드를 모스크바에 개설하고 즉시 서비스에 들어갔다. 국내 글로벌 서비스 고객 가운데는 중앙 아시아를 커버할 수 있는 CDN 노드에 대한 요구가 있었는데, 이로써 어느 정도 해소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23개의 CDN 노드 위치는 아래와 같다. * 미국 Ashburn, VA Bay Area, CA Chicago, IL San Antonio, TX Los Angeles, CA Miami, FL Newark, NJ Seattle, WA * 유럽 Amsterdam, NL Dublin, IE London, GB Moscow, RU Paris, FR Stockholm, SE Vienna, AT Zurich, CH * 아시아 Hong Kong, HK ..
- Total
- 289,263
- Today
- 1
- Yesterday
-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