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물머리에는 현재까지는 무료로 운영되는 공영주차장이 여러곳이 있다. 올 4월부터 "유효화 대비 무료 시범 운영" 플래카드가 곳곳에 붙어 있고 차단봉 및 카드 결제 단말이 다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유료 전환이 멀지 않은 듯도 보인다.
차박지로 고민했던 두 곳은 아래와 같으며 그중 "공영주차장"이라고 표기되어 있는 곳을 최종 정했다. 바로 앞에 산책길과 북한강 지류(?)가 있어 시원하고 뷰도 나름 괜찮다. 깨끗한 화장실과 쓰레기 분리수거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깔끔한 차박이 가능하다
당초 신양수대교 "교각아래두물머리제5공용주차장"의 1번 구역에 햇빛을 피해 주차하고 배다리를 이용해 세미원을 구경 후에 차에서 연핫도그 먹으로 잠시 쉬었다고 두물머리를 구경 후 차박지인 "공영주차장"으로 이동할 예정이었으나, 1번 구역에 주차하고 보니 배다리가 없는 것을 알게되어 일단 두물머리 구경후, 차를 가지고 세미원으로 갈 것인가 걸어서 갈 것인가를 고민했다.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이 "물내길"을 걸어 세미원으로 가는 경로이다.
고민끝에 차박하려고 맘 먹었던 "공영주차장"의 가장 윗부분 (즉, 양수대교 가장 가까운 곳)에 주차후 걸어가기로 했다
두물머리 차박 지도공영주차장 - 두물정원에서 본 차박지양서농협 두물머리 로컬푸드직매장 - 3층 두물정원 옥상 (2층이 매장), 앞 강 뷰가 멋짐공영주차장 - 화장실
"교각아래두물머리제5공용주차장"은 낮에 그늘이 져서 시원하나 신양수대교를 오가는 차의 소음이 상당하다. 관광 안내소 직원께 문의하니 배다리는 수리를 마치고 올 11월에는 재오픈 예정이라고 하니 참고하시길 ...
아래 사진은 맨 위 지도에서 중간 도로에서 찍은 1번 영역이고, 반대쪽으로 훨씬 긴 2번 주차공간이 있으며 여기는 상대적으로 널널하다. 두물머리의 다소 외진 산책길로 이어진 곳이라서 그런듯..
교각아래 제5공용주차장 - 저 끝이 두물머리 입구이자 배다리가 있던 곳 근처임교각아래 제5공용주차장 끝 두물머리 입구 - 배다리 없어요 ~~~~
참고. 대한제국의 릉은 조선왕릉과 다르게 정자각 대신 침전을, 무선인·문석인을 비롯한 석물을 능 주위가 아닌 홍살문과 침전 사이에 배치하여 석물을 가까이서 살펴볼 수 있다. (위 홍릉, 유릉 사진 참고)
수종사
올라가는 길이 가파르다는 글이 많아서 2WD SUV로 가도 되나 걱정을 했으나 전혀 쓸데 없는 기우였음
수종사 일주문 앞까지 차로 올라갈 수 있고, 길은 시멘트길이나 다소 가파르긴하며 두 번정도 180도 가까이 휘어지는 곳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길은 차 두대가 교행할 수 있을 정도로 넓고 가끔 한대 정도 지나갈 정도의 길도 있긴 하다. 승용차를 비롯하여 아무 무리없이 차들이 연이어 올라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거의 정상 근처에 길에 물이 흘러 내리는 곳이 있는데, 오르막이라 바퀴가 살짝 헛도는 경우가 있었음)
공사중인 일주문 - 그 앞에 10대 정도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수종사에 올라 바라본 두물머리수종사 - 500년된 은행나무수종사 - 사리탑(경기도 유형문화재)와 팔각오층석탑 (보물 제1808호)
물의 정원
현 시점에서 그다지 볼 만한 것은 없음 (강가의 풍경 정도)
물의 정원 - 강가 흔한 풍경
두물머리
세미원으로 가는 배다리가 폐쇄된 관계로 세미원으로 가려면 차로 이동하거나 물내길(둘레길)을 통해 빙 둘러 가야함
양수리 전통시장이 매월 1, 6일 장이 서는 관계로 이를 감안해서 방문하면 좋을 듯. (방문일이 5일이라 장이 안서 아쉬웠음)
두물머리 - 두물경
세미원
세한정 - 세한도를 본 떠 (?) 심어논 것 (그럴싸함)
능내역 (폐역)
2008년 폐역으로 내비찍고 가다보면 작은 골목으로 안내하는데 이정표도 없어 당황스럽다. 하지만 코너만 돌면 전시용 기차 객실 한량이 보인다.
두 곳에 작은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둘 합쳐 한 20대 정도 라인 주차가 가능 (그 사이 공간에 주차를 한다고 해도 30대 정도)
여긴 자전거 라이더들의 쉼터가 더 맞는 듯
능내역 - 주차장 두번째 (저 끝에 있는 건물이 화장실, 그 앞에 첫번째 작은 주차장이 있음)능내역 - 역사 (안에 들어갈 수 있나 작은 대합실이 전부)능내역 - 뒷쪽 (대합실 입구)능내역 - 대합실 내부 (이게 전부임)능내역 - 전시되어 있는 열차 (철판 덧대는 중, 몹시 더웠는데 고생하십니다)
정약용 유적지, 다산생태공원
정약용 생가, 기념관, 문화관, 정약용묘, 정약용 본인이 썼다는 자찬묘비명
바로 옆에 실학박문관, 다산 정원 그리고 이어지는 다산생태공원
정약용 유적지 - 여유당 (정약용 생가)정약용 유적지 - 자찬묘지명 (다산이 지었다는 묘지명이 뒤에 새겨져 있다)정약용 유적지 - 정약용묘다산생태공원 - 전망대에서 바라본 전경 (다산생태공원은 넓은 공간에 비해 아직 뭔가 다소 아쉬움)
제를 지내는 정자각, 비석을 모시는 비각, 음식을 만드는 수라간, 능을 지키는 수복의 공간인 수복방 등 동일 구성
동구릉 - 건원릉 (태조) : 유난히 벌초가 안된 듯 보여 다소 의아했음동구릉 - 건원릉 신도비 (태조의 업적 기록, 보물 제1803호)동구릉 - 원릉 (영조와 두번째 왕비 정순왕후 능)동구릉 - 목릉 (좌측 : 선조 능, 우측 : 첫번째 왕비 의인왕후 능), 인목왕후능은 사진에 안 나옴동구릉 - 숭릉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동구릉 - 숭릉 연지 (연지는 동구릉 중 유일하게 숭릉에만 있고, 동구릉 전체의 물 관리하는 용도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