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Windows Azure Platform은 지난 2010년 2월 1일 전세계 21개국을 대상으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여기에 해당 국가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아일랜드, 인도, 이탈리아, 일본, 네델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싱가포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미국 등 21개국이었다.
미국 기준으로 오늘 4월 9일부로 기존 21개국 이외에 추가로 20개국에 Windows Azure Platform이 정식 서비스에 들어가게 되어, 총 41개국에서 Windows Azure Platform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제공되는 서비스로는 기존 제공되던 Windows Azure, SQL Azure 이외에 추가로  4월 9일부터 Windows Azure Platform AppFabric이 새롭게 추가로 서비스된다.

4월 9일부로 새롭게 서비스 대상국에 포함되는 20개국은 다음과 같다.
호주,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키프로스, 체코, 그리스, 홍콩, 헝가리, 이스라엘, 룩셈부르크, 말레이지아, 멕시코, 페루, 필리핀, 폴란드, 프에르토리코, 루마니아, 트리니다드토바고 등 20개국이다.
안타깝게도 이번 서비스 확대 대상국에도 한국은 제외되었다.

Windows Azure Platform 사용 요금은 서비스 대상 국가 41개국에 동일하지 않다. 각 나라별 각 서비스별 이용 요금은 여기에서 비교해볼 수 있다. 참고로 상용 서비스 이후 현재 Windows Azure Platform를 이용하는 고객들 목록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NET Framework 4가 4월 12일에 정식 출시가 되는데, 지난 MIX 2010에서 밝힌 것 처럼 .NET 4 정식 출시 90일 이내에 Windows Azure에서 지원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현재 Windows Azure의 OS 빌드는 .NET 4 RC까지 올렸다고 한다.

Posted by 장현춘

댓글을 달아 주세요

Azure Services Platform위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여 전문가 및 커뮤니티의 투표에 의해서 우수작을 가리는 컨테스트가 시작됐다. 다분히 미국 위주의 이벤트이지만, 전세계 개발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분야도 있다.
경쟁 분야는 다음과 같이 네가지이다.
1. .NET 애플리케이션 (미국만)
2. PHP 애플리케이션 (미국만)
3. Community winner (미국 부문, 전세계 부문 별도 시상)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Community Winner는 Azure Services Platform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고, 전세계 사람들이 온라인을 통해 투표하여 최종 우승자를 가리는 방식이다. 6월 1일 컨테스트 시작, 7월 9일 등록 마감, 7월 10일 ~ 7월 20일까지 온라인 투표, 7월 21일 우승자 발표의 일정으로 진행된다.

등록을 원하거나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는 분은 컨테스트 싸이트를 참고하시길...

Posted by 장현춘

댓글을 달아 주세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Azure Services Platform에 대한 개발자 가이드가 시리즈로 공개되고 있다.

image

우선 공개된 것은 Auzure Services Platform의 서비스 빌딩 블럭 가운데, .NET Services에 대한 개발자 가이드이다. 아래 링크를 따라 가면 .NET Services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와 각 서비스들, 즉 Services Bus, Access control services, Workflow services에 대한 개발자 가이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www.microsoft.com/downloads/details.aspx?FamilyID=5057e2b3-c8e5-4b26-a601-ff9621589ce3&DisplayLang=en

· An Introduction to Microsoft .NET Services for Developers. 이 문서는 .NET Services 및 각 요소 빌딩 블럭인 Services Bus, Access Control, Workflow Services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와 이들이 어떻게 엮여 사용되는지에 대해 소개하는 백서이다.

· A Developer’s Guide to the Microsoft® .NET Access Control Service. 이 문서는 claim 기반 Identity 모델과 .NET Access Control Services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이나 서비스를 구현할 때,  SSO (Single-sign-on), 통합 인증 (federated identity),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ole-based access control)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배울 수 있다.

· A Developer’s Guide to the Microsoft® .NET Service Bus. 이 문서는 인터넷 기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연동함에 있어서 안전하고 표준 기반인 메시지 Fabric을 제공할 수 있도록 .NET Services Buse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 A Developer’s Guide to the Microsoft® .NET Workflow Service. 이 문서는 .NET Workflow Services에 대한 상세한 소개와 WF와의 연관성, 그리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플로우를 구성하기 위해 개발자가 알아야하는 것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문서는 현재의 툴이나 개발 능력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미래에 출시될 제품에 대한 비전도 제시하고 있다.

Posted by 장현춘

댓글을 달아 주세요

image

차세대 웹 개발을 준비하는 웹 개발자와 디자이너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가 매년 개최하는 MIX 행사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이번 MIX09에서 발표된 주목해야하는 기술 변화들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자

[Silverlight 베타 3]
Silverlight 3 베타에서 달라지는 것들은 아래 그림으로 요약할 수 있다.
image

특징적인 것들을 뽑아보면
1. 멀티미디어
- IIS Media Services의 Smooth Streaming 기법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네트웍 및 CPU 환경에 최적화된 비디오 품질을 제공
- HD급 동영상을 위한 VC-1/WMA 이외에 H.264/AAC를 지원함으로써 서비스 제공자에게 선택의 기회 제공
- GPU를 활용한 Full Screen 720p+ HD 동영상 상영이 가능
- PlayReady를 활용한 DRM 적용
2. 그래픽
- Perspective 3D 지원
- Bitmap Caching으로 렌더링 속도 향상
- Bitmap을 수정할 수 있는 API 제공
- Application에 Theme을 입힐 수 있고 Control에 Skin을 입힐 수 있는 기능
- 텍스트 렌더링 및 애니메이션 속도 향상, SL2부터 Local Font 사용 가능
3. 개발생산성
- 이전에 제공되는 컨트롤의 기능 확대 및 새로운 컨트롤 추가 (DataPager, DataForm, Navigation Framework 등)
- .NET RIA Services (“Alexandria”)를 통해 손쉽게 엔터프라이즈 RIA 솔루션 구축 가능
4. Out of Browser
- SL3는 추가 플러그인을 설치하지 않고도 데스크탑에 설치하여 아이콘만으로 실행하여 브라우저 없이 동작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 마치 Smart Client 애플리케이션 처럼 런타임이 이러한 기능을 자동으로 제공하며, 필요시 App.Current.Detach()를 호출하여 설치 창을 불러올 수도 있다.
- 또한 Smart Client가 웹을 통해 자동 업그레이드를 지원하듯이 SL3도 서버에 새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배포되었다면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액션을 요청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하고 있다.
- SL3는 브라우저 내에서 동작하든지, 브라우저 밖에서 동작하든지 자동으로 네트웍 연결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오프라인일 경우 로컬의 IsolatedStorage를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하고 온라인이 되었을 경우 작업한 내용을 웹 서비스를 통해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 Tim Heuer의 동영상이 위 세가지 기능을 아주 잘 보여주고 있다.
5. 기타 중요 업데이트
- 한 페이지내에 여러 SL3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있다면 이들 사이에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Local Connection API가 제공된다. LocalMessageSender와 LocalMessageReceiver를 통해 비동기적으로 클라이언트 머신내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즉, 서버까지 갔다오는 roundtrip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훨씬 효율적이다.
- XAML내 element-to-element 바인딩이 가능하다.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속성에 binding되고자 할 경우 이전에는 이벤트 핸들러에서 타겟 element의 변경 사항을 감지하여 처리해주어야 하지만, 이제는 element에  다른 element로의 Binding을 직접 기술할 수 있어 코딩이 필요없다.
- Expression Blend 3 Preivew가 함께 공개되어 개발이 편해졌다.

MIX09에서 발표된 SL3 의 새로운 기능에 대한 소개 동영상은 아래 링크에서 볼 수 있다.
What’s new in Microsoft Silverlight 3

Silverlight 3 베타 런타임 및 개발 관련된 SDK, Visual Studio integration 패키지 등은 아래 싸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Silverlight.net

[웹 개발 생산성 향상]
- 드디어 ASP.NET MVC 1.0 정식 버전이 발표되었다. 이곳에서 관련 자료, 튜토리얼, 동영상 및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Microsoft Web Platform 2.0 베타 출시 - 이것은 웹 개발시 필요한 닷넷 프레임웍, 개발 툴인 Visual Web Developer, IIS 서버 및 SQL Server를 한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패키지이며, 새 버전에서는 개발 생산성을 높이고 오픈 소스 활성화를 위해 제공되고 있는 Windows Web Gallery의 우수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포함하여 배포하고 있다.
- Internet Explorer 8 정식 발표 - 이미 알려진 대로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고려하면서도 렌더링 측면에서 타 브라우저를 능가하는 성능을 보여주는 새로운 인터넷 익스플로어 8 이 공개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
image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인 Azure Services Platform에도 변화가 있다. CTP에 대한 사용자들의 피드백을 수용하여 클라우드 OS에 해당하는 Windows Azure에 몇 가지 변화를 시도했다. Full-trust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요소들을 묶을 수가 있으며, Windows Azure의 IIS7에서 FastCGI를 직접 지원함으로 인해 클라우드 상에서 PHP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Full-trust를 지원하기 때문에 native code로 구현된 기능을 P/Invoke를 통해 닷넷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호출할 수 있다.
image

또한 Azure Services의 한 종류인 SQL Data Services가 이제는 T-SQL을 직접 지원함으로써 개발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 ADO.NET 기반의 경험 및 기술을 그대로 활용하여 클라우드 SQL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해졌다.
image

이번 MIX09에서 발표된 로드맵을 보면 Azure Services Platform은 올 가을에 상용 서비스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image

Posted by 장현춘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