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개발자들이 기다려온 Enterprise Library (EntLib) 5.0이 출시되었다. EntLib는 개발 과정에서 늘 고민하게 되는 공통적인 코드 블럭들을 마이크로소프트가 전세계 개발자들과 함께 고민하면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는 라이브러리성 프레임웍의 모음집이다. 시장에는 이미 많은 오픈 소스 기반의 라이브러리들이 있어 개발자의 노가다를 줄여주고, 시장에서 검증된 성능의 품질 좋은 코드셋을 앞다투어 쏟아내고 있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도 거대 닷넷 생태계에 일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EntLib 5.0은 이전 4.1버전과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은 9개의 application block들로 구성되어 있다. Caching Application Block. Developers can use thi..
약간은 formal한 글을 포스팅하고 싶었지만, 차분히 앉아 이런 저런 형식을 갖춰가며 한편의 논문 쓰듯 글을 올린다는 것이 점점 불가능해짐을 느낀다. 블로그의 어원이 의미하듯 그냥 로그 남기듯 그때 그때 쓰고 싶을 글을 끄적임이 더 어울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미팅을 준비하다가 지루하여 잠시 twitter에 올라온 글들을 보다 Channel9의 트윗 중 MEF에 관한 글을 보고나니, 한번쯤은 정리하고자 했지만 큰맘 먹고 다가서야할 것 같은 느낌에 미루던 것인지라 그냥 편한 마음으로 들어보았다. MEF가 무엇인지 알고 싶지만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없는 분이라면 20여분 짜리 영문이지만, 아주 천천히 또박 또박 강의하는 아래 동영상을 추천한다. http://channel9.msdn.com/shows/10-..
이랜드 시스템 황용호 아키텍트 팀장이 Spring.NET, NHibernate, SVN, NUnit, NAnt, Log4net 등 다양한 오픈 소스를 적용하여 Formular# 이라는 표준 개발 프레임웍을 만들어 고객사에 적용하면서 느낀 점을 블로터닷넷과의 인터뷰에서 밝히고 있다. 몇 가지 음미해볼 만한 부분을 인용해보면... 오픈소스 기반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기 전에는 관련 프레임워크에 대한 교육이 쉽지 않았는데, 이미 전세계적으로 알려진 제품이다보니 이 부분도 상당히 수월하게 진행됐다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하면서 고객들과 더욱 대화를 많이 할 수 있고, 전체 아키텍처 구현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된 것이 가장 큰 이점이라고 기술적인 이슈를 처리하는 것에 온 심혈을 기울였던 기존 프로젝트에..
ASP.NET MVC 프레임웍의 출시가 임박한 가운데, ASP.NET MVC Release Candidate 2가 출시되었다. RC1에 있었던 몇 가지 버그가 수정되었고 새 기능이 추가되었다. 변경된 것으로는 ASP.NET MVC RC 2 설치시에 .NET Framework 3.5 SP1을 요구한다. 하지만 실행시 런타임 자체는 SP1에 대한 dependency가 없기 때문에 binary 배포할 경우 SP1 없는 .NET Framework 3.5 설치하에서도 동작한다. 또한 쿠키를 통한 사기 방지를 위해 쿠키에 쿠키 경로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포함된 jQuery의 버전이 1.2.6 에서 1.3.1 로 변경되었다. DefaultModelBinder의 validation 관련 메시지가 현지화될 수 있게 변..
지난 포스팅에서는 프레임웍 기반 개발이란 무엇인가 살펴보고, 닷넷 개발 생태계 측면에서 오픈 소스 기반의 프레임웍이 제공하는 가치에 대해 알아 보았다. 또한 이후 포스팅에서는 프레임웍 기반 개발의 장점과 적용시 유의사항에 대해 살펴보았다. Framework-based Development – 개념 Framework-based Development – 적용 Framework-based Development – 종류 Framework-based Development - 오픈 소스 적용 사례 이번 시간에는 프레임웍 기반 개발시 적용할 수 있는 오픈 및 오픈 소스 프레임웍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통상적인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경우 Presentation-Business-Data T..
지난 포스팅에서는 프레임웍 기반 개발이라는 것이 개발자 영역에서의 자연스런 진화의 산물이며, 시장에 널려 있는 수많은 프레임웍 가운데 자사의 현실에 적합한 프레임웍들의 조합을 통해 프로젝트 전체를 관통하는 뼈대를 만들어 좀 더 나은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기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때 조합의 대상이 될 즉, candidate 프레임웍들로는 가급적 닷넷 개발 생태계의 산물인 오픈 프레임웍을 선정함이 바람직함을 얘기한 바 있다. Framework-based Development – 개념 Framework-based Development – 적용 Framework-based Development – 종류 Framework-based Development - 오픈 소스 적용 사례 이번 시간에는 프레임웍 기반..
프레임웍 기반 개발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함에 있어서 기존에 만들어진 프레임웍의 조합을 통해 좀 더 빼르고 견고하게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 이는 어느 특정 벤더의 개발 방법론도 아니고 개발 영역에서 자연스럽게 발전하여 체득된 개발 방식이다. SI 경험이 많은 대부분의 기업에게는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경험으로 부터 다듬어져 프레임웍의 형태를 띄는 것들을 가지고 있다. 추상화 혹은 모듈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혹은 대외적으로 홍보하는 이름이 있고 없을 뿐 대부분의 개발이 프레임웍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향후 몇 번에 걸쳐 프레임웍 기반 개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Framework-based Development – 개념 F..

Composite Application은 다양한 리소스로부터 얻은 각기 다른 정보를 최종 사용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해 화면 구성을 모듈화하고 사용자의 권한과 역할에 따라 화면 구성 및 화면 전환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만들어지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몇 년전까지는 Composite Smart Client라는 이름으로 많은 기업들에 제공되던 방식이기도 하다. 현재 Composite Application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가 제공하는 Application Block들은 다음과 같다. -. Composite UI Application Block (CAB) - Windows Form 기반의 composite ap..
프레임웍, 특히 시장에서 널리 사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기반의 프레임웍에 대한 스터디 모임이 시작됐다. 마이크로소프트 에반젤리트 일부, 외부 MVP 및 재야의 숨은 고수들과 함께 프레임웍에 대해 함께 모여 공부하고 이를 외부에 공개하여 프레임웍, 특히 오픈 소스 프레임웍에 대한 붐을 닷넷 개발자 사이에 확산하기 위한 시도이다. 스터디 모임은 비공개로 제한된 인원으로 시작하며, 발표자료 및 발표 동영상은 아래 싸이트에 게시되어 모두가 자유롭게 접근하여 배포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프레임웍 스터디 까페 첫 스터디 모임은 6월 30일 예정되어 있으며 주제는 시장에서 한창 인기를 얻고 있는 ASP.NET MVC + Spring.NET + NHibernate 조합인 Sharp Architecture이다. 이를..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닷넷 파트너인 엔소아 컨설팅에서는 닷넷 오픈 소스 프레임웍의 활성화를 위해 "Spring.NET 프레임웍 활용 가이드"를 만들고 있으며 현재까지 완성된 v0.2 를 공개하였다. 닷넷에서, 특히 국내 닷넷 프로젝트에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나 쉽게 접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 형태의 문서가 많지 않은 현실에서 엔소아 컨설팅의 이러한 시도에 많은 박수를 보내고 싶다. 엔소아 컨설팅에서 작성중인 "Spring.NET 프레임웍 활용 가이드"는 여기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 다운로드
- Total
- 289,263
- Today
- 1
- Yesterday
- 0